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 및 지원 혜택 총정리
정부는 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해당 제도는 계속 시행되며, 지원금 지급 방식, 가입 조건, 납입 유도 인센티브 등이 일부 개선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신청 자격, 혜택, 가입 방법, 주의사항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 및 지원 혜택 총정리 |
1.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매월 저축액에 추가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저소득 근로 청년이 월 10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정부가 소득에 따라 최대 월 30만 원까지 추가 지원하여 최대 1,440만 원까지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2. 2025년 신청 자격 조건
-
연령
-
신청일 기준 만 19세 ~ 만 34세 이하
-
-
소득 기준
-
근로·사업소득이 월 60만 원 이상
-
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
(1인 가구 기준 약 220만 원, 4인 가구 약 540만 원 이하)
-
-
재산 기준
-
대도시: 2억 원 이하
-
중소도시: 1억 7천만 원 이하
-
농어촌: 1억 5천만 원 이하
-
-
기타 요건
-
현재 취업 중(근로·사업소득)
-
타 자산형성지원사업과 중복 불가 (ex. 희망두배통장 등)
-
3. 지원 혜택
-
월 저축액: 본인이 매월 10만 원 저축
-
정부 지원금:
-
중위소득 50% 이하: 월 30만 원 지원
-
중위소득 50~100% 이하: 월 10만 원 지원
-
-
3년 만기 시 수령 총액
-
최대 1,440만 원 + 이자 수령 가능
-
-
비과세 혜택
-
이자소득세 비과세, 복리 적용
-
-
금융 교육 및 자립 컨설팅 필수
-
온라인 교육 수료 및 연 1회 상담 의무
-
4.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신청 방식 간소화: 온라인 전면 통합 접수(복지로 또는 앱)
-
가구소득 조사 방식 개선: 건강보험료 중심 → 소득인정액 중심으로 변경
-
중도 해지자 패널티 완화: 일부 사유 인정 시 정부지원금 일부 유지 가능
5. 신청 방법 및 절차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또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전용 홈페이지)
-
자격 확인 후 서류 제출
-
근로소득 및 가구소득 심사
-
선정 결과 문자 및 이메일 통보
-
가입 후 매월 저축 및 자동이체 설정
-
연간 교육 이수 + 상담 → 3년 유지 시 만기 수령
※ 2025년 신청 일정은 상반기 3월 / 하반기 9월 예정
6. 주의사항
-
3년간 매월 저축 필수,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전액 환수 가능
-
1개월이라도 납입 누락되면 패널티 적용 (보조금 일부 삭감)
-
다른 정부 자산 형성 상품과 중복 가입 불가
7. 이 제도가 특히 유리한 사람은?
-
월급이 60만 원 이상인 파트타임·알바 청년
-
부모와 따로 살고 있는 1인 가구 청년
-
청년 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조건에서 제외된 저소득 근로자
8. 마무리 요약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3년 동안 최대 1,440만 원의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강력한 복지 저축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고, 수혜 대상도 넓어져 조금만 조건이 맞아도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자격만 된다면 꼭 신청하세요.
혜택모아는 앞으로도 청년 정책, 정부 지원금, 자산 형성 제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겠습니다.